학습자료
  • 원문
  • 해석
  • Writing Topics
* 원문 내용 중 단어를 클릭하면 단어를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People & History 4, John F. Kennedy: An American Icon
인물 & 역사 4, 존 F. 케네디: 미국의 우상
* 원문 숨기기(보기)를 클릭하면 원문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The name Kennedy has become synonymous in the United States with wealth, power, and tragedy. John Fitzgerald Kennedy, the 35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personified all of these. He led his country into a new era, one of aggressive Cold War maneuvers and mass media politics. He was a new breed of politician, one who came from a wealthy background but stood up for the rights of minorities. Although his presidency was tragically short—less than three years—his legacy has endured.
     John F. Kennedy was born the second child of Joseph and Rose Kennedy. Joe, an Irish American multimillionaire, had a burning ambition for his sons to run for political office. He encouraged his nine children to be competitive in both their physical and intellectual pursuits. The combination of financial independence and competitiveness was a major factor in the Kennedy family’s political success.
케네디라는 이름은 미국에서는 부와 권력, 그리고 비극의 대명사가 되었다. 미국의 35대 대통령인 존 피츠제럴드 케네디는 이 모든 것을 상징한다. 케네디는 미국을 새로운 시대 즉 공격적인 냉전 전략과 대중 매체 정치의 시대로 이끌었다. 그는 새로운 유형의 정치인으로서, 부유한 집안 출신이지만 소수집단의 권리를 옹호했다. 비록 3년을 채 못 채운 그의 재임 기간은 비극적으로 짧았지만 그의 유산은 여전히 남아 있다.
     존 F. 케네디는 조셉 케네디와 로즈 케네디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일랜드계 미국인으로 수백만장자인 조는 아들들이 정계로 나가기를 바라는 불타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아홉 자녀들이 육체적이고 지적인 추구 모두에 있어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독려했다. 재정적인 독립과 경쟁력의 결합이야말로 케네디가가 정치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이었다.
     After the oldest son, Joe Jr., was killed in World War II, John Kennedy took up the family’s ambitions. He had already served in World War II, been injured, returned to battle, and shown exceptional bravery—for which he was awarded the U.S. Navy and Marine Corps Medal for heroism. Because of his injuries, he continued to suffer back pain for the rest of his life. Nevertheless, soon after he was discharged from the navy in 1945, Kennedy began to run a very aggressive campaign for a seat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At the age of 29, he won his first election. He never lost an election throughout his political career.
     장남인 조 케네디 2세가 2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한 후 존 케네디가 가족의 야심을 짊어졌다. 그는 2차 세계대전에서 이미 복무를 했고 부상을 당했지만 전선으로 돌아가 뛰어난 용기를 보였기 때문에 미 해군과 해병대 무공 훈장을 받았다. 부상 때문에 그는 그후 일생 동안 계속해서 요통에 시달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5년 해군에서 제대한 후 곧 케네디는 미국 하원의원 의석을 얻기 위해 아주 적극적인 선거운동을 하기 시작했다. 29세의 나이에 존 케네디는 첫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는 정치 인생 내내 선거에서 한 번도 진 적이 없다.
     In 1952 he ran for the U.S. Senate, with his brother Robert managing the campaign. The following year he married the young, beautiful, and sophisticated Jacqueline Lee Bouvier, whose prominent family enhanced his social position. In the following years, he and his wife appeared on many magazine covers, in newspapers, and on television broadcasts as he delivered speeches and made public appearances. The couple’s glamour was very important in the emerging age of television.
     In January 1960 John F. Kennedy formally announced his intention to run for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e launched a new kind of political campaign, using the mass media to advertise himself. The Kennedy style—intellectual, classy, and rich—captivated the hearts and minds of Americans. Kennedy’s charm, wit, and eloquence——teamed with Jacqueline’s artistic sense and fine taste—fascinated the media and the adoring American public.
     1952년 케네디는 남동생 로버트가 선거 캠페인을 총괄하는 가운데 상원의원에 출마했다. 다음 해에는 젊고 아름답고 세련된 재클린 리 부비에와 결혼을 했다. 명망 있는 재클린의 가문은 케네디의 사회적 입지를 높였다. 그 후 케네디가 연설을 하고 공식적인 행사에 참석하면서 케네디와 그의 부인의 모습은 많은 잡지 표지와 신문, 그리고 텔레비전 방송에 실렸다. 매력적인 이들 부부의 모습은 부상하는 텔레비전의 시대에 아주 중요한 것이었다.
     1960년 1월 존 F. 케네디는 공식적으로 미국 대통령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케네디는 자신을 홍보하기 위해 대중 매체를 이용하는 새로운 종류의 정치 캠페인을 시작했다. 지적이고, 세련되며, 풍요로웠던 케네디 스타일은 미국인들의 마음과 생각을 사로잡았다. 재클린의 예술 감각과 고급 취향과 어우러진 케네디의 매력과 재치, 그리고 능변은 대중 매체와 그들을 흠모하는 미국 대중들을 매료시켰다.
Everything the Kennedys did, wore, ate, and said became fashionable. Largely due to Kennedy’s popularity with the public, the Democratic Party nominated him as their candidate.
     One of the deciding factors in the presidential campaign was a series of televised debates between the two candidates. With his handsome face, distinctly Harvard accent, and poise in front of the cameras, Kennedy eclipsed his less charismatic opponent, Richard M. Nixon. It is estimated that 85 to 120 million Americans watched one or more of the debates, and most viewers concluded that Kennedy had won them, even though both candidates showed a clear grasp of the issues and were equally articulate in expressing their views. Since then every president elected to the Oval Office has had to prove his adeptness with the media, especially television.
케네디가 하는 것과 입는 것, 먹는 것, 말하는 것 모두 최신 유행이 되었다. 민주당은 케네디의 대중적인 인기에 크게 영향을 받아 그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대통령 선거에서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는 여러 차례에 걸친 두 대통령 후보 간의 텔레비전 토론이었다. 잘생긴 얼굴과 뚜렷한 하버드 악센트, 카메라 앞에서 보여준 침착함으로 케네디는 자신보다 카리스마가 부족한 상대인 리처드 M. 닉슨이 빛을 잃게 만들었다. 8천5백만에서 1억 2천만 명의 미국인들이 이 토론을 한 번이라도 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두 후보 모두가 현안들을 분명히 파악하고 있고, 자신들의 견해를 명료하게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케네디가 승자였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 이후로 백악관의 대통령 집무실에서 일하도록 선출되는 모든 대통령들은 대중 매체 특히 텔레비전 앞에서 능숙함을 보여야만 했다.
     John F. Kennedy’s presidential campaign slogan, "Let’s get this country moving again," applied to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affairs. On an international level, he vowed to involve America more in world matters. He wanted to build missiles to catch up to a perceived Soviet dominance, as well as to defend the U.S. from communist Cuba. Domestically he pledged to raise employment, improve the economy, and support civil rights.  
     Kennedy won the election—the youngest president ever elected to the White House. In his inaugural speech, he stirred the hearts of Americans when he said, "In the long history of the world, only a few generations have been granted the role of defending freedom in its hour of maximum danger. I do not shrink from this responsibility—I welcome it." He concluded with these immortal words, "My fellow Americans: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존 F. 케네디의 "이 나라를 다시 움직입시다."라는 대통령 선거 구호는 국내와 국제 문제에 모두 적용되었다. 국제적인 차원에서 케네디는 미국이 세계 문제에 더 많이 개입하겠노라고 약속했다. 케네디는 공산주의 국가 쿠바에서 미국을 보호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우위라고 알려진 소련을 따라잡기 위해 미사일을 개발하기를 원했다. 국내에서는 고용을 늘리고 경제를 개선시키며 시민의 평등권을 지지하겠노라고 맹세했다.
     케네디는 선거에서 승리했고 백악관에 선출된 최연소 대통령이 되었다. 취임 연설에서 케네디는 "세계의 오랜 역사 중 오로지 몇 세대만이 최악의 위험의 때에 자유를 지키는 역할을 부여받았습니다. 저는 이 책임을 피하지 않겠습니다. 오히려 이 책임을 환영합니다." 이렇게 말하여 미국인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다. 케네디는 이 연설을 다음과 같은 불후의 명언으로 끝맺었다. "동료 미국 시민 여러분. 조국이 당신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묻지 말고 당신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Soon after he became president, the Cold War escalated into a crisis. In October 1962 the world held its breath as tensions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came to a head. The Soviets had begun to install nuclear missiles on Cuba, an island only 145 kilometers away from the American state of Florida. On October 24 Kennedy ordered a naval blockade to stop Soviet ships from reaching Cuba. For 13 long days, the two nations were on the brink of nuclear war. On October 28 the Soviet leader, Nikita Khrushchev, backed down. He promised that no more missiles would be delivered to Cuba and that the ones already on the island would be removed. In return Kennedy promised not to invade Cuba.
     대통령이 된 직후 냉전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1962년 10월 미국과 소련 간의 갈등이 극도로 악화되자 세계는 숨을 죽이고 있었다. 소련이 미국 플로리다 주에서 불과 145킬로미터 떨어진 섬인 쿠바에 핵미사일을 설치했던 것이다. 10월 24일 케네디는 소련 선박들이 쿠바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상 봉쇄를 명령했다. 길고 긴 13일 동안 두 나라는 핵전쟁의 위험에 당면했었다. 10월 28일 소련의 지도자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한 발 물러났다. 그는 더 이상 쿠바로 미사일을 가져가지 않을 것이며, 이미 그 섬에 배치된 미사일들도 제거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에 대한 대가로 케네디는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The rivalry between the superpowers did not end there. The Cold War resulted in American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a step seen as critical to preventing the spread of communism. According to the "domino theory," if one small country were to fall to the communists, many more in the region would follow. As a result Kennedy promised financial and military aid to the South Vietnamese, who were battling the communist North Vietnamese, and sent thousands of American soldiers there to fight. After 15 years of bitter conflict that left thousands of Americans and Vietnamese dead and wounded, American soldiers withdrew, defeated, and Vietnam became a communist state.
     초강대국 간의 경쟁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냉전의 결과 미국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저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치로서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던 것이다. ‘도미노 이론’에 따르면 작은 국가 하나가 공산주의에 함락되면 주변의 다른 많은 국가들도 그 전철을 따르게 된다. 그 결과 케네디는 공산주의인 북쪽의 월맹에 대항해 싸우던 월남에 재정적 군사적 원조를 약속했고, 수천 명의 미국 병사들을 베트남으로 파병했다. 수천 명의 미국인들과 베트남인들의 죽음과 부상을 남긴 15년의 힘겨운 갈등 끝에 미국 군인들은 패배한 채로 철수했고, 베트남은 공산 국가가 되었다.
     Within the borders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Kennedy left three lasting legacies: the space program, the Peace Corps, and the Civil Rights Act. After the Soviets’ success in launching the world’s first satellite into orbit in 1957, Kennedy ordered American scientists at NASA to put an American man on the moon by the end of the 1960s. This resulted in a huge expansion of the American space program, which did reach its goal in July 1969. The Peace Corps is a government agency that sends American volunteers to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American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The Civil Rights Act proposed by Kennedy made racial discrimination in public places illegal, and made it possible to withhold federal government aid from states that continued to practice segregation. This led to the Voting Rights Act in 1965, which protected the rights of blacks to vote in elections and allowed the emergence of many African American political leaders.
     하지만 미국 국경 내에서 케네디는 세 가지의 영구적인 유산을 남겼다. 우주 프로그램과 평화봉사단, 그리고 공민권법이었다.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궤도에 쏘아 올리는 데 성공한 이후 케네디는 미 우주 항공국의 과학자들에게 1960년대 말까지 미국인이 달에 발을 디디게 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그 결과 미국 우주 프로그램은 크게 확대되었고 1969년 7월 이 목표를 달성했다. 평화봉사단은 다른 국가들과 미국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미국인 자원 봉사자들을 개발도상국으로 보내는 정부 기관이다. 공민권법은 공공장소에서의 인종 차별을 불법으로 규정했고, 인종 차별을 계속 시행하는 주들에 대한 연방 정부의 지원을 중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그 결과 1965년에는 흑인들이 선거에서 투표하는 권리를 보호하여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치 지도자들이 나오게 해준 투표권법으로 이어졌다.
     Tragically on November 22, 1963, as John and Jacqueline Kennedy were riding in an open motorcade in Dallas, Texas, the president was shot and killed. Just two hours later, Vice President Lyndon Johnson was sworn in as the new president. Although a loner named Lee Harvey Oswald was arrested almost immediately and charged with the assassination, he was himself killed just two days later, before he could come to trial. Conspiracy theories about who was responsible for the JFK assassination are plentiful. Speculation about mafia or CIA involvement has flourished in books, movies, and magazines over the past forty years.
     JFK’s presidency has been described as "one brief shining moment" in history, and the man himself is a cultural and political icon; decades after his death, his popularity has not diminished. Sadly, in 1968, JFK’s brother Robert was also assassinated, during his bid to become president. The successes and tragedies that befell the Kennedy clan have been immortalized in countless books, movies, and even Broadway plays. Generations after, the world still remembers John F. Kennedy.
     슬프게도 1963년 11월 22일 존과 재클린 케네디가 텍사스 주 댈러스에서 무개차 행진을 하던 중 대통령은 총에 맞아 숨졌다. 바로 두 시간 후 부통령인 린든 존슨이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서를 했다. 리 하비 오스왈드라고 하는 외톨이가 거의 즉시 체포되어서 암살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재판을 받기 전, 그러니까 체포 2일 후에 그도 살해되었다. 존 F. 케네디의 암살은 누구의 책임인가에 대한 음모 이론은 매우 많다. 마피아나 미국 중앙정보부가 연루되었다는 추측이 지난 40여 년간 책과 영화, 잡지에 무성했다.
     존 F. 케네디의 대통령 재임은 역사에 '짧게 빛나던 순간'으로 묘사되어 왔으며 케네디 자신은 사망 수십 년 후에도 문화와 정치의 우상으로 묘사되었고 그의 인기는 시들지 않고 있다. 1968년 슬프게도 존 F. 케네디의 동생 로버트 역시 대통령이 되려고 출마했다가 암살되었다. 케네디가에 드리워진 성공과 비극은 수없이 많은 책과 영화, 심지어 브로드웨이 연극에서 영원히 살아 있다.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도 세계는 여전히 존 F. 케네디를 기억하고 있다.
© 2000-2025 Little Fox Co., Ltd. All rights reserved.
www.littlefo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