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 원문
  • 해석
  • Writing Topics
* 원문 내용 중 단어를 클릭하면 단어를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People & History 4, Benjamin Franklin
인물 & 역사 4, 벤저민 프랭클린
* 원문 숨기기(보기)를 클릭하면 원문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In 1723, at the age of 17, Benjamin Franklin walked into Philadelphia with one dollar in his pocket. Carrying three rolls of bread (his only food) and dressed in shabby, working-class clothes, he made a poor impression. No one would have expected this young fellow to become one of the most respected men, not just in Philadelphia, but in the great nation he helped found and in the rest of the world. His bold democratic spirit and numerous accomplishments made him one of the most revered figures in American history.
1723년, 17세의 벤저민 프랭클린은 호주머니에 1달러를 넣고 필라델피아로 걸어 들어왔다. 롤빵 세 개(그의 유일한 식량)를 가진 남루한 노동자 차림의 그는 초라한 인상을 주었다. 이 젊은이가 필라델피아뿐만 아니라 그의 조력으로 건국된 이 위대한 국가 및 세계의 다른 나라에서도 많은 존경을 받는 사람이 되리라는 것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의 담대한 민주주의 정신과 다양한 업적은 그를 미국 역사상 가장 존경 받는 인물들 중 하나로 만들었다.
    In Philadelphia, Franklin took a job at a local printer. He had worked at his brother’s printing business in Boston since the age of 12 and was good at his job. Within five years, he had traveled to London to buy printing equipment, found a business partner, and started his own Philadelphia printing company. In 1729, at the young age of 23, he became the publisher of the Pennsylvania Gazette.
     Franklin had an unshakable belief in fairness, open discussion, and the free exchange of ideas. At a time when most newspapers promoted one political or private point of view, Franklin ensured freedom of speech in his paper. If people had opposing viewpoints on an issue, for instance, the Gazette would publish articles from both sides of the debate. If readers disagreed with something they read, they were encouraged to submit an article saying why they disagreed. This democratic stance helped the Pennsylvania Gazette become the most widely read newspaper in the American colonies.
     필라델피아에서 프랭클린은 그 지역 인쇄소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그는 보스톤에서 12살 때부터 형의 인쇄 사업을 도와 일했고 그 일을 잘 했다. 5년 안에 프랭클린은 인쇄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 런던으로 여행했고, 동업자를 찾았으며, 필라델피아에서 직접 인쇄소를 시작했다. 1729년 23살의 젊은 나이에 그는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의 발행자가 되었다.
     프랭클린은 공정함과 개방적인 토론, 그리고 자유로운 의견 교환에 대한 확고부동한 믿음이 있었다. 대부분의 신문들이 한 가지 정치적인 혹은 개인적인 관점을 지지하던 시절에 프랭클린은 신문의 언론의 자유를 보증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어떤 문제에 대해 반대되는 견해를 갖는 경우에는 '가제트'는 논쟁의 양면을 다룬 기사를 실었다. 독자들이 읽은 내용에 동감하지 않는 경우에는 왜 동감하지 않는지 밝히는 글을 보내도록 격려했다. 이러한 민주적인 자세는 '펜실베이니아 가제트'를 미국 식민지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신문이 되도록 도왔다.
     Franklin was the leading figure of an intellectual club called the Junto, which he founded at the age of 21. The club members met every Friday to discuss books they had read and essays they had written. The only qualification for attending was "a thirst for knowledge and an open mind." As a result, the club was diverse: shoemakers, poets, merchants, and others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all met to talk about philosophy, science, and politics.
     Reading was an important activity of the Junto, but books were rare and expensive. At Franklin’s suggestion, the members pooled their money to buy books for a library. This was the birth of the 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 which is now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Franklin was always active in his city’s public life; he organized Philadelphia’s first fire brigade, started a public program to clean the streets, and later helped establish a hospital.
     프랭클린은 준토라고 하는 지식인 클럽의 지도자이기도 했는데, 그는 이 클럽을 21살에 창립했다. 이 클럽의 회원들은 매주 금요일에 모여 그들이 읽은 책과 쓴 수필에 대해 토론했다. 참석에 필요한 유일한 자격은 "지식에 대한 목마름과 열린 마음"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클럽은 다양하게 되었다. 구두 수선공, 시인, 상인, 그리고 그 외에도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만나 철학과 과학, 청치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독서는 준토의 중요한 활동이었으나 책은 귀하고 비쌌다. 프랭클린의 제안에 따라 회원들은 책을 사서 도서관에 두기 위해 공동 출자를 했다. 이렇게 하여 필라델피아 도서관회사가 태어났고, 이것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도서관 중 하나다. 프랭클린은 또 도시의 공적인 일에도 항상 활발했다. 그는 필라델피아 최초의 소방대를 조직했고, 거리 청소를 위한 공공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병원을 설립하도록 도왔다.
     In addition to his many other pursuits, Franklin was a prolific writer. He wrote essays on the popular issues of the day as well as humorous and entertaining stories. His most popular work was written under a pseudonym. Poor Richard’s Almanac was an annual publication that gav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the tides, the cycles of the moon, and the major events of the year. It was filled with practical advice and words of wisdom. Many of the sayings Franklin penned, such as "Early to bed and early to rise makes a man healthy and wealthy and wise," "A penny saved is a penny earned," and "Fish and visitors stink after three days," are commonly quoted to this day.
     그가 하는 다른 많은 일들과 더불어 프랭클린은 다작 작가였다. 그는 당시의 대중적인 논점들뿐만 아니라 해학적이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다룬 에세이도 썼다.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은 필명으로 쓰인 것이다. '가난한 리차드의 달력'은 매년 출판되었는데 날씨, 조수, 달의 주기, 그 해의 중요한 행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이 출판물은 실용적인 충고와 금언들로 채워졌다. 프랭클린이 지은 격언들 가운데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사람은 건강하고 부유하고 현명하다," "한 푼의 절약은 한 푼의 이득이다," "생선과 손님은 사흘이면 고약한 냄새가 난다"와 같은 많은 격언들이 오늘날까지도 흔히 인용된다.
     Franklin enjoyed great success as a printer. In 1730, his company was named the official printer of the then colony of Pennsylvania, and the popularity of the Pennsylvania Gazette and Poor Richard’s Almanac made the business profitable. At the age of 42, he retired, but Franklin’s idea of retirement was not, of course, to sit around and rest.
     He had always shown an interest in science. As a young man, he had demonstrated, for example, that dark material heats up faster than light material. After leaving the printing business, he devoted much of his time to science. He discovered the principle of cooling by evaporation and charted the flow of the Gulf Stream; he invented bifocal glasses, the Franklin stove, and a new musical instrument called the glass harmonica.
     프랭클린은 인쇄업자로서 크게 성공했다. 1730년에 그의 회사는 당시에는 식민지였던 펜실베이니아의 공식 인쇄소로 지정되었고, '펜실베이니아 가제트'와 '가난한 리차드의 달력'의 인기로 사업은 흑자를 보게 되었다. 42세의 나이에 그는 은퇴했으나 프랭클린이 생각하는 은퇴는 물론 빈둥빈둥하며 쉬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항상 과학에 흥미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젊은 시절 그는 어두운 색 물질이 밝은 색 물질보다 더 빨리 뜨거워진다는 것을 증명했다. 인쇄업을 그만둔 후에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과학에 바쳤다. 그는 증발에 의한 냉각의 원리를 발견했고 멕시코 만류의 흐름을 도표로 만들었다. 그는 이중 초점 안경과 프랭클린 스토브, 그리고 새로운 악기인 글라스 하모니카를 발명했다.
     Franklin is best known for his most famous discovery: that lightning is electricity. For years, he had followed developments in the new field of electricity and conducted his own experiments. To test his theory about lightning, he devised an experiment in which a kite on a wet string is flown in storm clouds. At the lower end of the string, a metal key becomes electrified by the charge conducted down the string. Other experiments led to his invention of the lightning rod, which prevents homes from burning when hit by lightning. Franklin’s electrical discoveries were widely published and discussed by scientists of the day. In 1753, in recognition of his work, he was elected to Britain’s Royal Society, an organization that promotes scientific research, becoming one of the few eighteenth-century Americans to receive that honor.
     프랭클린은 그의 가장 유명한 발견으로 가장 잘 알려졌다. 바로 번개는 전기라는 것이다. 수년 동안 그는 전기라는 새로운 분야의 발전을 주시하고 있었으며 직접 실험을 했다. 번개에 대한 이론을 시험하기 위해 그는 물에 젖은 줄에 매달린 연을 폭풍우를 동반한 구름 속으로 날리는 실험을 고안했다. 줄의 아래쪽 끝에 매달린 쇠로 된 열쇠가 줄을 타고 전도된 전하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다른 실험들은 피뢰침의 발명으로 이어졌는데, 이것은 번갯불에 맞아 집이 불에 타는 것을 막는다. 전기와 관련된 프랭클린의 발명은 당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과학자들도 많은 토론을 했다. 1753년에는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과학 연구를 장려하는 단체인 영국 학술원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는데, 그는 이러한 영예를 누린 몇 안 되는 18세기 미국인이었다.
     For all his scientific successes, Franklin’s greatest contributions to history came in the political arena. In his early forties, he was selected as a councilman and became a justice of the peace for Philadelphia. In 1751, he was elected to the Pennsylvania Assembly, and two years later, was appointed joint postmaster-general of the colonies. The years leading up to the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were a time of increasing conflict between the 13 American colonies and Great Britain, and in 1757, Franklin was sent to London as an envoy. In England, he spoke against Britain’s unfair taxes on the colonies and became known as a respected statesman.
     그의 모든 과학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프랭클린은 정계에서 역사에 최대의 공헌을 했다. 그는 40대 초기에 시의회 의원에 선출되었고 필라델피아의 치안 판사가 되었다. 1751년에 그는 펜실베이니아 의회에 선출되었고, 2년 후에는 식민지의 공동 우정 공사 총재에 임명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수년 동안은 미국의 13주 식민지와 영국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는 시기였으며, 1757년에 프랭클린은 사절로서 런던에 파견되었다. 영국에서 그는 식민지에 부과된 영국의 부당한 세금에 반대하는 말을 했고 존경 받는 정치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Franklin was one of the first to propose a union of the colonies, and in 1776, as war with England broke out, he returned to America and helped draft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en representatives from the 13 colonies met to decide the constitution that establish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anklin was a key delegate. In fact, they met in the rooms of the 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 started by Franklin years before. During the War of Independence, Franklin served his new country as a diplomat once again. He traveled to Paris, where he negotiated France’s support for the United States; this allianc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United States’ victory. During his many years in England and Europe, Benjamin Franklin’s fame grew. He spoke six languages, and met easily with the leading scientists, writers, and politicians of the day.
     플랭클린은 식민지들의 연합을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들 중 하나였고, 1776년에 영국과의 전쟁이 시작되자 미국으로 돌아가 독립 선언문의 초안 작성을 도왔다. 13주 식민지 대표들이 미합중국 수립을 위한 헌법을 결정하려고 만났을 때 프랭클린은 중요한 사절이었다. 사실 그들은 프랭클린이 수년 전에 시작한 필라델피아 도서관회사 건물에서 모였다. 독립 전쟁 중에 프랭클린은 외교관으로서 다시 한번 새로운 조국에 헌신했다. 그는 파리로 가서 미국에 대한 프랑스의 지지를 협상했고, 이 동맹은 미국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영국과 유럽에서 보낸 수년 동안 벤저민 프랭클린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그는 6개 국어를 했고 당대의 손꼽히는 과학자, 작가, 정치가들과도 쉽게 만났다.
     Franklin’s belief in fairness and equality was demonstrated throughout his life. He spoke out for the fair treatment of Native Americans, and negotiated a treaty with the Iroquois nations. He wrote that women had the intellectual ability to be as successful as men, if only society would allow them. Although Franklin became very wealthy from his inventions, he never protected them with patents. The point of learning, he wrote, was not to amass wealth; rather, it was to "serve mankind, one’s country, friends, and family." Benjamin Franklin’s extraordinary life was one of service and accomplishment that touched the lives of people from every race, class, and religion. It is no surprise that many call Benjamin Franklin the greatest man of his time.
     공정함과 평등함에 대한 프랭클린의 믿음은 그의 생애를 통해 증명되었다.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을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고 거리낌없이 말했고, 이로쿼이족과는 조약을 협상했다. 그는 사회가 허용하기만 한다면 여성들도 남성들처럼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이 있다고 썼다. 프랭클린은 그의 발명으로 큰 부자가 되었지만 결코 그의 발명들을 특허를 받아 보호하지 않았다. 그는 배움의 목적은 부를 축적하는데 있는 것이기 보다는, 오히려 "인류, 조국, 친구, 가족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썼다. 벤저민 프랭클린의 비범한 일생은 모든 인종, 계급, 종교에 속한 사람들의 삶을 감동시킨 헌신과 성취의 삶이었다. 벤저민 프랭클린을 그의 시대 최고의 인물이라고 부르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 2000-2025 Little Fox Co., Ltd. All rights reserved.
www.littlefo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