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ous Disasters 8: The Great Fire of London, 1666 세계를 뒤흔든 재난 8: 1666년 런던 대화재
* 원문 숨기기(보기)를 클릭하면 원문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London Burning
A simple mistake ignited one of the worst fires in world history.
Sometime in the early hours of Sunday, September 2, 1666, a baker named Thomas Farriner went to sleep in London, England, without extinguishing the fires in his oven.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 oven sparked a flame in the kitchen. Moments later the fire was spreading quickly through his house on Pudding Lane.
All the conditions were right that day for a terrible conflagration. Within this old city, wooden buildings stood close together along narrow, winding, and crowded streets. The summer had been hot and dry, and on September 2, a strong wind was blowing. Fanned by these gusty winds, the fire rapidly consumed one building after another. By midnight it had reached warehouses along the riverfront where highly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wine, oil, tar, and coal, further fueled its flames.
런던 화재
작은 실수가 세계 역사상 최악의 화재에 불을 붙였다.
1666년 9월 2일 일요일 이른 아침 시간에 토마스 패리너라는 한 빵집 주인이 영국 런던에서 오븐의 불을 끄지 않은 채 잠자리에 들었다. 한밤중에 오븐의 불씨가 주방에 불을 붙였다. 얼마 후 푸딩레인에 있는 그의 집 안에 순식간에 불길이 번졌다.
그날은 끔찍한 화재가 일어날 모든 조건이 갖추어져 있었다. 이 오래된 도시 안에는 목재 건물들이 좁고 구불구불한, 사람들로 붐비는 거리에 빽빽히 들어서 있었다. 그 해 여름은 무덥고 건조했으며 9월 2일에는 강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이 강풍에 불길은 더 거세어졌고 순식간에 건물들을 하나씩 태워버렸다. 자정이 되었을 때 불길은 강변지대의 창고에 다다랐고 포도주와 기름, 타르, 석탄 등 인화성 물질들이 불길을 더욱 부채질했다.
In the hours and days to follow, the fire engulfed homes, shops, schools, prisons, and entire neighborhoods. It destroyed nearly ninety churches, including St. Paul’s Cathedral, one of the oldest and grandest buildings in the city. The heat from the fire was so intense that it melted glass, coins, lead—even the thick iron bars of a city prison.
By seven o'clock that first morning, three hundred houses had already burned to the ground. By the time the fire was completely extinguished—4 days later—nearly 80 percent of the city was in ashes.
The Human Toll
As the Great Fire continued to burn, many Londoners, including the king's mother, Henrietta Maria, fled to places outside the city. Those who could afford to move had their possessions taken from their homes and put on barges that floated to safer areas. Some people left London and never returned.
그후 시간과 날짜가 지나면서 화재는 집과 가계, 학교, 감옥, 그리고 동네 전체를 태워버렸다. 화재는 시에서 가장 웅장하고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인 세인트 폴 대성당을 포함해 거의 90채의 교회를 파괴했다. 화재의 열기는 너무나 강렬해서 유리, 동전, 납, 심지어 시립 교도소의 두꺼운 창살까지도 녹였다.
첫째 날 아침 일곱 시 경에는 이미 300채의 주택들이 완전히 타버리고 말았다. 나흘 후 불이 모두 꺼졌을 때는 도시의 거의 80센트가 잿더미가 되어 있었다.
사상자 수
대화재의 불길이 계속해서 타오르자 왕의 모친인 헨리에타 마리아를 포함한 많은 런던 시민들은 도시 바깥으로 피신했다. 이사를 할 재력이 있는 사람들은 집에서 가지고 나온 소유물들을 바지선에 실어 더 안전한 곳으로 나르도록 했다. 어떤 사람들은 런던을 떠나 다시는 돌아가지 않았다.
Thousands of people camped around the city's outskirts in tents and flimsy shacks with family members and whatever possessions they had left. A well-known writer named John Evelyn wrote that, in these refugee camps, he saw "poor inhabitants . . . many without a rag or any necessary utensils, bed, or board; who . . . were now reduced to . . . misery and poverty."
Most people did not know what had caused the fire. Citizens roamed the streets looking for arsonists who might have deliberately started the blaze. Foreigners were blamed too. Those from Holland or France found themselves in particular danger because England was at war with those countries. One day, as the Great Fire burned, a mob of angry Londoners prowled the streets, looking for foreigners—and then killing any they found.
수 천 명의 사람들이 도시 변두리에서 가족들과 함께 남은 소지품들을 챙겨 텐트나 엉성한 판잣집을 짓고 임시로 거주했다. 존 에블린이라는 한 유명한 작가는 난민 캠프에서 "누더기 하나 없고, 필요한 살림 도구나 침대, 먹을 것도 없는…… 가난한 주민들이…… 가난과 불행에…… 빠져버린" 것을 보았다고 썼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화재의 원인이 무엇인지 몰랐다. 시민들은 고의적으로 불을 질렀을지도 모르는 방화범을 찾아 거리를 돌아다녔다. 외국인들을 탓하기도 했다. 네덜란드나 프랑스에서 온 사람들은 영국이 그 나라들과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특히 위험하게 되었다. 대화재의 불길이 타고 있던 어느 날 런던의 성난 군중들은 외국인을 찾아 거리를 배회하다가 누구든 발견되면 죽였다.
It is not known precisely how many people perished in the fire. Information, especially about poor people, was not carefully recorded. But experts agree that thousands lost their homes and belongings. For many of those left homeless, exposure to cold weather soon led to illness and death.
Fighting the Fire
Fire prevention and fire-fighting techniques in the 1600s were not very sophisticated. The city didn't have a fire department so people worked together to put out any fires that sprung up, mostly using buckets of water to douse the flames. The law required the creation of firebreaks, or open spaces between buildings, to prevent fires from spreading easily. But in London, the Lord Mayor, Sir Thomas Bloodworth, had hesitated to spend the money necessary to enforce this law. And by the time Bloodworth finally ordered that buildings be demolished to make firebreaks—on Sunday, September 2—it was far too late.
정확히 몇 명이 화재에 숨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정보는 그리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수천 명의 사람들이 집과 재산을 잃었다는 데 동의한다. 집을 잃은 사람들 가운데 많은 수가 추운 날씨에 노출되어 곧 질병이나 죽음을 맞이했다.
소방 작업
1600년대의 화재 예방과 소방 기술은 그리 발달되지 않았다. 런던에는 소방소가 없었기 때문에 언제든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주로 양동이로 물을 떠서 다 함께 불을 껐다. 법적으로는 건물 사이에 방화대라고 하는 공간을 두어 불길이 쉽게 번지는 것을 막도록 요구했다. 그러나 런던에서는 시장 토마스 블러드워스 경이 이 법을 시행하기에 필요한 자금을 쓰기를 꺼려했다. 그리고 마침내 블러드워스가 방화대를 만들기 위해 건물들을 철거하도록 명령했던 9월 2일 일요일에는 이미 너무 늦었던 것이다.
King Charles put his brother, James, in charge of fighting the blaze. James organized teams of men who knocked down buildings to try to starve the fire of fuel. The king and his brother also rode around the city on horseback, urging people to pitch in and offering rewards to those who joined in the fight. Later both men were praised for their efforts.
By late Wednesday, September 5, the wind had died down, and many of the firebreaks had stopped the fire from spreading further. The next morning only small fires burned here and there. The Great Fire of London was finally over.
찰스 왕은 그의 동생 제임스에게 불을 끄는 작업을 맡겼다. 제임스는 사람들을 조로 나누어 불이 타는 데 연료가 되는 것들이 없도록 하기 위해 건물들을 부쉈다. 왕과 그의 동생은 또 말을 타고 도시를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격려하려 협력하도록 했으며, 소방 작업에 참가하는 사람들에게는 상금을 약속했다. 후에 두 사람은 이러한 노력에 대한 찬사를 받았다.
9월 5일 수요일 늦은 시간이 되자 바람은 멎었고 많은 방화대가 불길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막았다. 다음 날 아침에는 작은 불길들만이 여기저기서 탔다. 런던 대화재가 드디어 끝이 난 것이다.
Recovering and Rebuilding
For Londoners, the recovery process was long and difficult. After the fire many people felt traumatized by its devastating effects. A famous writer named Samuel Pepys, who kept a diary during the fire, described his recurring nightmares. Like many others, he was "much terrified in the nights . . . with dreams of fire and falling down of houses."
King Charles continued trying to help the citizens of London after the fire was put out. He ordered that bread be distributed for free. He set up courts to resolve housing disputes that broke out after the fire between tenants and landlords. He also asked for the public's ideas on the best way to rebuild the ruined city.
People had many different ideas about what to do. Finally, after great debate, it was decided that London would be rebuilt according to its former street plan. But unlike the former plan, the new plan was created with fire safety in mind.
복구와 재건
런던 시민들에게 복구 과정은 멀고 험난했다. 화재 후 많은 사람들은 그 엄청난 결과에 큰 충격을 받았다. 화재 때 일기를 썼던 사무엘 페피스라는 유명한 작가는 되풀이 되는 악몽을 표현했다.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그는 "밤이 되면…… 불길이나 집들이 무너지는 꿈으로 매우 두려웠다."
찰스 왕은 화재가 진압된 후에도 계속해서 런던 시민들을 도우려고 노력했다. 그는 빵을 무료로 보급하도록 명령했다. 화재 후 세입자와 집주인 사이에 일어난 주택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법정도 세웠다. 그는 또한 폐허가 된 도시를 재건할 가장 좋은 길이 무엇인지 대중들의 의견을 구했다.
사람들은 무엇을 할지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들을 가지고 있었다. 마침내 많은 토론 끝에 런던을 이전의 도로 계획 대로 재건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전 계획과는 달리 새로운 계획은 소방안전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
Many streets were widened and straightened, and new houses were constructed not with wood, but with brick and stone. Planners also made sure that the Thames River—an important water source for fighting fires—remained accessible.
After the Fire
The Great Fire of 1666 was one of the city's worst disasters. The fire burned for four days and four nights, and over thirteen thousand houses and four hundred acres of land were destroyed. Many people were left homeless and penniless, having lost everything in the fire.
But the tragedy also brought some benefits for London, as well as for the rest of the world. London was still recovering from the Great Plague, which had ravaged the city and taken thousands of lives. The fire killed rats that carried the plague, perhaps helping to finally eradicate the disease. In addition, the Great Fire l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fire-fighting techniques. Newer cities were also planned with fire safety in mind.
많은 거리들을 넓히고 똑바르게 했으며 새 집들은 나무가 아니라 벽돌과 돌로 지어졌다. 설계자들은 또한 소방 작업에 중요한 물의 공급원인 템스 강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화재 후
1666년 대화재는 런던이 겪은 가장 심한 재난들 중 하나였다. 불길은 나흘 밤낮을 탔고 만 삼천 채의 주택과 400에이커의 땅이 파괴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화재에 모든 것을 잃어 집도 없이 무일푼으로 남았다.
그러나 이 비극은 런던과 또한 전 세계에 몇 가지 이익도 가져왔다. 런던은 도시를 황폐화시키고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역병으로부터 아직도 회복 중이었다. 화재는 병을 옮기는 쥐를 죽여 병을 박멸하는데 한몫을 했을지도 모른다. 게다가 대화재는 더욱 발전된 소방 기술을 개발하도록 이끌었다. 새로운 도시들 또한 소방안전을 염두에 두고 계획되었다.
When Englishman William Penn founded the American city of Philadelphia in 1682, he remembered the fire in London. He made sure the streets in his city plan were more open and the houses were not packed together too closely.
In 1668 Christopher Wren, a famous architect, began making plans to rebuild St. Paul’s Cathedral on its original site. By 1677 Wren had also erected a monument to the Great Fire, often just called the Monument. Shaped like a candle with flames at the top, this tall stone column marks the spot where the fire started. Its north side is etched with words that recall the terrible blaze that "devoured even distant buildings and rushed . . . through every quarter with astonishing swiftness and noise."
But the Monument is not just a memorial to history; it has also become a symbol of London's rebirth. Thousands of visitors climb its stairs each year to look out on the city that, once rebuilt, became the center of a powerful empire.
영국인인 윌리엄 펜이 1682년 미국의 도시 필라델피아를 세웠을 때 그는 런던의 화재를 기억했다. 그는 자신이 설계한 도시 계획은 도로들이 탁 트이고 주택들이 너무 가까이 붙어 있지 않도록 했다.
1668년 유명한 건축가 크리스토퍼 렌은 세인트 폴 대성당을 원래의 위치에 재건하려는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1677년에 이르러 렌은 흔히 그냥 '기념비'라고 불리는 대화재 기념비를 세웠다. 꼭대기에 불꽃이 있는 양초 모양을 한 이 높은 돌기둥은 화재가 시작된 지점을 표시한다. 기념비의 북쪽 면에는 "멀리 떨어진 건물들까지 삼켜버리고…… 놀라운 속도와 소음을 내며 모든 지역을 휩쓸었던" 끔찍한 불꽃을 상기시키는 글이 에칭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념비는 단지 역사를 기념하는 것일 뿐 아니라, 런던의 부활을 상징하는 것도 되었다. 재건된 후 강력한 제국의 중심이 된 이 도시의 전망을 바라보기 위해 매년 수천 명의 방문객들이 이 기념비의 계단을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