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stars in History 8: Milton Hershey 역사 속의 슈퍼스타 8: 밀턴 허쉬
* 원문 숨기기(보기)를 클릭하면 원문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FAYE MOSS: Hello everyone! Welcome back to Superstars in History, the talk show featuring famous people from the past. I'm your host, Faye Moss. Right now I'm dying for some chocolate, and it's all the fault of our guest today! He's the man who introduced Americans to chocolate, and he's famous for his philanthropy and the town that bears his name. Straight from history, please welcome Milton Hershey!
MILTON HERSHEY: Hello, Faye. May I offer you a Hershey's bar?
페이 모스: 안녕하세요 여러분! 과거의 유명 인사들이 출연하는 <역사 속의 슈퍼스타>에 다시 오신 걸 환영합니다. 저는 진행자 페이 모스입니다. 지금 저는 초콜릿이 엄청 먹고 싶은데요, 그건 다 오늘의 초대 손님 때문이랍니다! 그는 미국인들에게 초콜릿을 소개한 사람이고, 자선 활동과 그의 이름을 딴 마을로도 유명하지요. 역사에서 바로 나온, 밀턴 허쉬 씨를 반갑게 맞이해 주세요!
밀턴 허쉬: 안녕하세요, 페이. 허쉬 초콜릿바 하나 드려도 될까요?
FAYE MOSS: Thanks, Mr. Hershey! I can't eat during the show, so let's get this interview started! As a kid, did you dream of owning a chocolate factory?
MILTON HERSHEY: Not at all. When I was born in rural Pennsylvania in 1857, most Americans hadn't even tasted chocolate.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candy" meant treats like taffy, caramels, and hard candies. I got in the business purely by accident.
FAYE MOSS: That sounds intriguing! Tell us more.
페이 모스: 고맙습니다, 허쉬 씨! 토크쇼 중에는 먹을 수 없답니다. 그러니 이 인터뷰를 시작하도록 하죠! 어린아이였을 때 초콜릿 공장을 가지는 것을 꿈꾸었나요?
밀턴 허쉬: 전혀요. 내가 1857년 펜실베이니아주의 시골에서 태어났을 때,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초콜릿을 맛본 적도 없었죠. 19세기 중반에, "캔디"라고 하면 태피(설탕과 버터를 녹여 만든 말랑한 사탕), 캐러멜, 그리고 딱딱한 사탕을 뜻했어요. 나는 순전히 우연하게 그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페이 모스: 아주 흥미롭군요! 좀 더 말씀해 주세요.
MILTON HERSHEY: My family moved around a lot because my father had trouble holding a job. I was never able to attend one school for very long, and by the time I was 14, my mother thought it would be better for me to work. So I quit school and became a printer's apprentice, but I hated that job. One day I decided to let my straw hat fall into a printing press. The press stopped working, and I got fired.
FAYE MOSS: Did you find a job in a candy factory?
밀턴 허쉬: 우리 가족은 아버지가 하나의 직업을 진득하게 유지하지 못하셔서 이사를 자주 다녔어요. 나는 한 학교를 오래 다닐 수가 없었는데, 열네 살 즈음에 어머니는 내가 일을 하는 게 더 낫겠다고 생각하셨죠. 그래서 나는 학교를 그만두고 한 인쇄공의 견습생이 되었는데, 난 그 일이 정말 싫었어요. 하루는 내 밀짚모자를 인쇄기에 빠뜨리기로 결심했죠. 인쇄기는 멈췄고, 난 해고되었어요.
페이 모스: 사탕 공장에서 일자리를 구했나요?
MILTON HERSHEY: Not a factory. I spent the next four years at an ice cream and candy shop in Lancaster, Pennsylvania. I was good at making candy and learned so much that I opened my own shop in Philadelphia. It was 1876, and many people were visiting the Centennial Exposition—the first world's fair in the United States. I ran a pipe outside to tempt customers with the delicious smells of candy-making. Lots of them stopped in the shop on their way to the fair. As time passed, I expanded into the wholesale business and moved to a bigger shop.
FAYE MOSS: It sounds like you were a success.
밀턴 허쉬: 공장은 아니었어요. 나는 그다음 4년을 펜실베이니아주의 랭커스터에 있는 아이스크림과 캔디를 파는 가게에서 일하며 보냈어요. 나는 캔디를 잘 만들었고 정말 많은 것을 배워서 필라델피아에 내 가게를 열었죠. 그게 1876년이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미국에서 열린 최초의 만국 박람회(세계 박람회)인 100주년 박람회를 방문했죠. 나는 캔디를 만드는 맛있는 냄새로 고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파이프를 밖으로 달았어요. 박람회 가는 길에 많은 사람들이 가게에 들렀어요. 시간이 흐르면서, 나는 도매 사업으로 확장했고 더 큰 상점으로 자리를 옮겼어요.
페이 모스: 성공을 거두신 것 같네요.
MILTON HERSHEY: Yes, for half-a-dozen years. But then I made some bad decisions and had to close my business. The next year I opened another shop in New York City. When that one failed, I was forced to return to Lancaster. Maybe I'd have been more successful if I'd had more education.
FAYE MOSS: I'm sure your family was delighted to see you.
MILTON HERSHEY: Not delighted enough to help me start a new business! My mother's family had financed my Philadelphia and New York stores, but by now everyone thought I was as irresponsible as my father. I had to start my new venture—making caramels—on my own. When I received a check for a big order, I was so excited I ran to the bank wearing my apron. My factory eventually employed over 700 people.
밀턴 허쉬: 네, 6년 동안은 그랬죠. 하지만 나는 잘못된 결정을 몇 번 했고 사업을 접어야 했어요. 그다음 해에 나는 뉴욕에 또 상점을 열었죠. 그 상점이 망했을 때, 나는 랭커스터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어요. 내가 교육을 더 받았더라면 아마 사업이 더 성공적이었을 수도 있었겠지요.
페이 모스: 가족은 당신을 봐서 분명히 기뻐했겠군요.
밀턴 허쉬: 내가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걸 도와줄 만큼 기뻐하진 않았죠! 외가쪽 친척들이 내 필라델피아와 뉴욕 상점의 자금을 대주었는데, 이제는 모두들 내가 아버지처럼 무책임하다고 생각했어요. 나는 캐러멜을 만드는 새로운 모험적인 사업을 혼자의 힘으로 시작해야 했어요. 큰 주문으로 수표를 받았을 때 나는 너무도 신이 나서 앞치마를 두른 채로 은행으로 달려갔지요. 내 공장은 마침내 700명 이상을 고용하게 되었답니다.
FAYE MOSS: What motivated you to start making chocolate?
MILTON HERSHEY: With the success of my caramel factory, I had money to travel. In Europe I tasted the finest Swiss milk chocolate—an expensive luxury. Unlike American chocolate, which was bitter and brittle, this was sweet and creamy. But the real turning point came in 1893, when I attended another world's fair in Chicago. A German company's exhibit demonstrated chocolate making—from roasting cacao beans to the finished product—right there. I kept returning to watch the machinery and sample the chocolate. I believed chocolate had a bigger future than caramels. When the fair ended, I purchased equipment from the exhibit and started a product line that included chocolate coatings and cocoa.
페이 모스: 초콜릿을 만들게 된 동기는 무엇이었나요?
밀턴 허쉬: 캐러멜 공장의 성공으로, 나는 여행할 돈이 생겼죠. 유럽에서 나는 비싼 사치품이었던 고급 스위스 밀크 초콜릿을 맛보았어요. 맛이 쓰고 잘 부서지는 미국 초콜릿과는 다르게, 그건 달콤하고 부드러웠어요. 하지만 진정한 전환점은 1893년에 왔는데, 내가 시카고에서 열린 또 다른 만국 박람회에 갔을 때였죠. 한 독일 회사 전시장에서 초콜릿 만드는 걸 시범 보였는데, 바로 거기서 카카오 빈을 볶는 것부터 시작해 완제품까지였답니다. 나는 그 기계를 관찰하고 초콜릿을 시식하려고 계속해서 다시 찾아갔어요. 난 초콜릿이 캐러멜보다 더 큰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믿게 되었죠. 박람회가 끝나고, 나는 그 전시장에서 장비를 구입했고 초콜릿 코팅과 코코아를 포함한 생산 공정을 시작했어요.
FAYE MOSS: Did you also make a milk chocolate bar?
MILTON HERSHEY: Not yet. No one in America had made milk chocolate before, so I had to figure it out myself. Fortunately I had always enjoyed experimenting with recipes. In 1900 I sold my caramel company for a million dollars to focus on chocolate. The first Hershey's milk chocolate was produced that year but could only be sold locally because it spoiled quickly. I hadn't figured out how to keep milk chocolate from spoiling yet. With a small group of employees, I worked night and day for several more years on this problem. We experimented with different ways of condensing milk. Finally we discovered a method that allowed us to mass-produce long-lasting chocolate bars at a price everyone could afford: five cents.
페이 모스: 밀크 초콜릿바도 만들었나요?
밀턴 허쉬: 아직 아니었어요. 이전에는 미국에서 아무도 밀크 초콜릿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스스로 터득해 나가야만 했죠. 다행히 나는 레시피로 실험해 보는 것을 늘 좋아했어요. 1900년에 나는 초콜릿에 집중하기 위해, 내 캐러멜 회사를 백만 달러에 매각했어요. 첫 허쉬 밀크 초콜릿은 그해에 생산되었지만, 금방 맛이 상했기 때문에 인근 지역에서만 판매했어요. 밀크 초콜릿을 상하지 않게 하는 법을 아직 알아내지 못했던 거죠. 몇몇 직원들과 함께 나는 몇 년을 더 이 문제에 대해 밤낮으로 일했어요. 우리는 우유를 응축하는 여러 방법을 실험했어요. 마침내 우리는 (상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초콜릿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답니다. 그것도 모든 이가 살 수 있는 가격인 5센트에 말이죠.
FAYE MOSS: And they stayed a nickel for many years. Even before you had the perfect recipe, you were confident you'd succeed. You had already started building a giant chocolate factory—and a town for the workers!
MILTON HERSHEY: That's right. I began construction on the world's largest chocolate factory in 1903, and it opened two years later. I wanted my employees to have a good place to live, so I oversaw every detail, including naming the streets. The main streets intersected at Chocolate and Cocoa Avenues, and other streets were named after cacao-growing areas. The houses were high quality and had indoor plumbing and electricity before many other American homes did.
페이 모스: 그리고 그 초콜릿바는 여러 해 동안 그대로 5센트였어요. 완벽한 레시피를 갖기 전에도, 허쉬 씨는 성공할 거라는 확신이 있었어요. 이미 대규모의 초콜릿 공장을 짓기 시작했잖아요, 직원들을 위한 마을도요!
밀턴 허쉬: 맞아요. 나는 1903년에 세계에서 가장 큰 초콜릿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2년 후에 공장문을 열었죠. 나는 내 직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좋은 곳을 가지기를 바랐기 때문에, 거리 이름 붙이는 것을 포함해 모든 세부 사항을 감독했죠. 대로들은 초콜릿 가와 코코아 가에서 교차했고, 다른 거리들은 카카오가 재배되는 지역의 이름을 따서 지었어요. 주택은 고급이었고 다른 미국 가정들보다 먼저 실내 배관과 전기 시설을 갖추었어요.
FAYE MOSS: Hershey, Pennsylvania even became a tourist attraction!
MILTON HERSHEY: Yes, that's because Hershey was more than a factory town. There were parks, theaters, and even a zoo!
FAYE MOSS: Tell us about the school you founded.
MILTON HERSHEY: It was my dear wife's idea. Kitty was always sick, and we were unable to have children. In 1909 we founded a residential school for orphan boys. Unlike most orphanages where the children lived in dorms, our boys lived in cottages with house parents. In addition to their schoolwork, they were expected to learn a trade and milk cows. A chocolate factory needs lots of milk!
페이 모스: 펜실베이니아주의 허쉬는 관광 명소가 되기까지 했어요!
밀턴 허쉬: 맞아요, 그건 허쉬가 공장 지역 그 이상이었기 때문이죠. 공원과 극장 그리고 동물원까지 있었답니다!
페이 모스: 허쉬 씨가 설립한 학교에 대해 이야기해 주시죠.
밀턴 허쉬: 그건 사랑하는 내 아내의 아이디어였어요. 키티는 항상 병약했고, 우리는 아이를 가질 수 없었어요. 1909년에 우리는 고아 남자아이들을 위한 기숙 학교를 설립했어요. 아이들이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대부분의 고아원과는 달리, 우리 아이들은 관리인 부모와 함께 작은 집에서 살았죠. 그들은 학업 외에도, 생업을 위한 기술을 배우고 젖소의 우유를 짜기로 되어 있었어요. 초콜릿 공장에는 많은 우유가 필요하거든요!
FAYE MOSS: It sounds like the school was really important to you.
MILTON HERSHEY: I wanted other boys to have the stability I never had. In 1918, three years after Kitty died, I donated my multi-million-dollar fortune to the school. Because I had no children, I decided the Hershey boys would become my heirs.
FAYE MOSS: Thank you for sharing your story today—I'll think of you every time I eat chocolate! We'll let you get back to history now, and I'll enjoy the treat you brought me!
MILTON HERSHEY: Thank you, Faye.
페이 모스: 그 학교가 허쉬 씨에게 정말 중요했던 것 같네요.
밀턴 허쉬: 나는 다른 남자아이들이 내가 경험하지 못한 안정감을 가지길 바랐어요. 키티가 세상을 떠난 지 3년 후인 1918년에 나는 몇 백만 달러의 재산을 그 학교에 기부했어요. 나에게는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허쉬의 아이들을 내 상속자로 삼기로 결심했던 겁니다.
페이 모스: 오늘 이야기를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초콜릿을 먹을 때마다 허쉬 씨를 생각할게요! 이제 역사 속으로 다시 보내 드리고, 제게 주신 간식은 맛있게 먹겠습니다!
밀턴 허쉬: 고마워요, 페이.
FAYE MOSS: Milton Hershey continued to take an interest in the chocolate business and the school until he died in 1945. Originally only white male orphans were enrolled at the Milton Hershey School, but by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school was welcoming all low-income boys and girls. The town, which features street lights shaped like Hershey's Kisses and smells like chocolate, still draws tourists, especially to its amusement park.
That's all for today. See you next time on Superstars in History!
페이 모스: 1945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밀턴 허쉬는 초콜릿 사업과 학교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습니다. 원래는 백인 고아 소년들만 밀턴 허쉬 학교에 입학했지만,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학교는 모든 저소득층 소년 소녀들을 맞이했습니다. 허쉬 키세스 초콜릿 모양의 가로등과 초콜릿 향이 나는 이 마을은, 특히 그곳의 놀이공원은 여전히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