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stars in History 26: Helen Keller 역사 속의 슈퍼스타 26: 헬렌 켈러
* 원문 숨기기(보기)를 클릭하면 원문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FAYE MOSS: Welcome to another episode of Superstars in History! I'm your host, Faye Moss, here to interview another famous face from the past.
When today's guest was a baby, an illness left her deaf and blind. With a special teacher, she overcame her disabilities and worked hard to help others overcome theirs. Please give a warm welcome to Helen Keller!
HELEN KELLER: Hello, Faye. It's lovely to be here. This is my friend and companion, Polly Thompson. She will use the manual alphabet to translate your words for me.
페이 모스: <역사 속의 슈퍼스타> 또 다른 에피소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진행자 페이 모스이고, 여기 과거에서 온 또 한 명의 유명 인사를 인터뷰할 거예요.
오늘의 초대 손님은 아기였을 때 어떤 병으로 청각 장애와 시각 장애가 생겼습니다. 특별한 선생님과 함께, 그녀는 장애를 극복했고 다른 사람들이 장애를 극복하도록 돕기 위해 열심히 일했죠. 헬렌 켈러를 따뜻하게 환영해 주시기 바랍니다!
헬렌 켈러: 안녕하세요, 페이. 이곳에 오게 되어 아주 좋군요. 여기는 내 친구이자 동반자인 폴리 톰슨입니다. 그녀가 수화 문자를 사용해 페이의 말을 나에게 번역해 줄 거예요.
FAYE MOSS: I'm delighted that Polly could join us!
Helen, you spent your career communicating in one way or another—writing and giving lectures and speeches. But as a child, you had few ways to communicate. Do you remember what that was like?
HELEN KELLER: In those early years, I seemed to be in a dense fog, but I wasn't totally cut off from the world. I could recognize and identify people by the vibrations they made as they walked. I could also recognize people and objects by their smell. Even before I learned sign language, I had my own signs for when I was hungry or sleepy.
페이 모스: 폴리가 우리와 함께 할 수 있어서 기쁘네요!
헬렌, 당신은 글을 쓰고 강의와 연설을 하며 이런저런 방식으로 소통하며 일했는데요. 하지만 어린 시절에는 의사소통을 할 방법이 거의 없었죠. 그게 어땠는지 기억하세요?
헬렌 켈러: 그 어린 시절에 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는 것 같았지만, 세상과 완전히 단절된 것은 아니었어요. 나는 사람들이 걸어 다닐 때 내는 진동을 통해 사람을 구별하고 알아볼 수 있었어요. 또한 사람과 사물의 냄새로도 알아볼 수도 있었죠. 난 수화를 배우기 전에도, 배가 고프거나 졸릴 때를 위한 나만의 손짓이 있었어요.
FAYE MOSS: Eventually your parents called on a very famous person for advice.
HELEN KELLER: Yes! My parents took me to visit Dr. Alexander Graham Bell when I was six years old. He was well known not only for inventing the telephone but also for finding ways to help the hearing impaired. As I sat on his lap and felt his long beard, I could sense his kindness. He recommended that my parents hire a tutor from the Perkins School for the Blind.
FAYE MOSS: And that tutor was Anne Sullivan, who was herself vision impaired. She came to your home to teach you. You call the day you met Anne in 1887 your soul's birthday.
페이 모스: 결국 헬렌의 부모님은 조언을 구하기 위해 아주 유명한 어떤 분을 방문하게 되었죠.
헬렌 켈러: 맞아요! 내가 여섯 살 때 부모님은 나를 데리고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을 만나러 가셨어요. 그는 전화기를 발명했을 뿐만 아니라 청각 장애인을 돕는 방법을 발견해낸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었어요. 그분의 무릎에 앉아서 그의 긴 턱수염을 만지며, 난 그분의 자상함을 느낄 수 있었어요. 그는 내 부모님에게 퍼킨스 시각 장애인 학교 출신의 가정 교사를 고용할 것을 권유했어요.
페이 모스: 그리고 그 가정 교사가 앤 설리번이었고 그분 또한 시각 장애인이었죠. 그분은 헬렌을 가르치려고 헬렌의 집으로 왔는데요. 헬렌은 1887년에 앤을 만난 날을 영혼의 생일이라고 부르지요.
HELEN KELLER: That's right. But our relationship didn't start off well. When Anne first came to us, I was a spoiled child. My family let me do whatever I liked because they felt sorry for me. I often threw tantrums and hit, pinched, and kicked people. I was easily angered since I could not make people understand me.
Anne used the manual alphabet to spell words into my hand with her fingers. The first time Anne spelled the word for "cup," I became upset because I didn't understand what she was doing. I smashed the cup out of frustration! Anne tried to bring some discipline to my life, even though my family couldn't bear it.
헬렌 켈러: 맞아요. 하지만 우리의 관계가 좋게 시작된 것은 아니었어요. 앤이 처음 우리에게 왔을 때 나는 버릇없는 아이였죠. 우리 가족은 나를 가엽게 여겨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내버려뒀거든요. 나는 자주 떼를 썼고 사람들을 때리고 꼬집고 발로 찼답니다. 사람들이 날 이해하게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나는 걸핏하면 화를 냈어요.
앤은 수화 문자를 사용하여 손가락으로 내 손바닥에 단어의 철자를 썼어요. 앤이 처음으로 '컵'의 철자를 썼을 때 나는 그녀가 뭘 하는지 이해하지 못해서 화가 났어요. 나는 좌절감 때문에 그 컵을 깨뜨려 버렸어요! 앤은 내 생활에 규율을 만들려고 노력했지요. 비록 우리 가족은 견디기 힘들어했지만요.
FAYE MOSS: But Anne had a plan for that, didn't she?
HELEN KELLER: Anne and I moved into a cottage on my parents' property. We lived there, just the two of us, so that she could teach me without my family interfering. At first I just imitated Anne's finger movements without knowing that they meant anything. Then one day something happened at the water pump. It seemed as if something long forgotten was coming back to me. I suddenly knew that the shapes she was finger spelling into my hand—W-A-T-E-R—meant the wonderful, cool substance that was flowing over my other hand. At that moment the world opened up to me. I had acquired language.
페이 모스: 하지만 앤에게는 다 계획이 있었던 거예요, 안 그래요?
헬렌 켈러: 앤과 나는 우리 부모님의 사유지에 있는 한 오두막으로 이사했어요. 그곳에서 우리 둘만 살았는데, 그렇게 해서 그녀는 내 가족에게 간섭받지 않고 날 가르칠 수 있었죠. 처음에 나는 앤의 손가락 움직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고 그냥 흉내를 냈어요. 그런데 어느 날 샘물 펌프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죠. 그것은 마치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무언가가 내게로 다시 돌아오는 것 같았어요. 나는 갑자기 그녀가 손가락으로 내 손에 W-A-T-E-R이라고 철자를 써 주던 그 모양들이 나의 다른 손에 흐르는 멋지고 시원한 물질을 뜻한다는 걸 알게 된 거죠. 그 순간 나에게 세상이 열렸어요. 내가 언어를 습득한 것이었어요.
FAYE MOSS: You learned quickly after that.
HELEN KELLER: I exhausted Anne by asking her to spell the names for things. I wanted to know the names for everything! And I learned to talk, but sadly my speech was hard to understand.
Eventually I attended the Perkins School for the Blind, and after that I attended several other schools for the blind or deaf. When I was 20 years old, I was accepted to Radcliffe College. Many people wondered how a deaf-blind young woman would manage at college. But I did well.
페이 모스: 그 이후 헬렌은 빠르게 배웠지요.
헬렌 켈러: 나는 사물 이름의 철자를 써 달라고 졸라대서 앤을 기진맥진하게 만들었어요. 난 모든 것의 이름을 알고 싶었거든요! 그리고 나는 말하는 법도 배웠는데, 슬프게도 내 말은 알아듣기 힘들었어요.
결국 나는 퍼킨스 시각 장애인 학교에 다녔고, 그 이후 시각 장애인이나 청각 장애인을 위한 다른 여러 학교에 다녔어요. 스무 살 때 나는 래드클리프 대학에 합격했답니다. 많은 이들이 시청각 장애를 가진 젊은 여성이 어떻게 대학 생활을 해낼지 의아하게 여겼어요. 하지만 난 잘 해냈답니다.
FAYE MOSS: I would say so! In 1909 you graduated with honors—and became the first deaf-blind person to earn a Bachelor of Arts degree. You wrote your first book, The Story of My Life, while you were still a student there.
HELEN KELLER: The studies weren't difficult for me since I loved to learn and read books in Braille. I particularly enjoyed studying languages like French and German. But since Radcliffe was not designed for hearing- and vision-impaired students, I depended on Anne to help me. I was always lucky to have dear companions to finger spell and help me speak. After Anne died in 1936, Polly stepped in for her.
페이 모스: 그렇게 말해야 할 것 같아요! 1909년에 헬렌은 우등으로 졸업했고, 문학사 학위를 딴 최초의 시청각 장애인이 되었죠. 헬렌은 아직 그곳의 학생일 때 <나의 인생 이야기>라는 첫 번째 책을 썼어요.
헬렌 켈러: 나는 점자로 된 책을 읽는 것과 배우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에 공부는 어렵지 않았어요. 특히 나는 프랑스어와 독일어 같은 언어를 공부하는 걸 좋아했어요. 하지만 래드클리프 대학은 청각, 그리고 시각 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곳이 아니었기 때문에 나는 앤에게 의지해 도움을 받았지요. 나는 늘 운 좋게도 손가락으로 철자를 써 주고 내가 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중한 동반자들이 있었어요. 1936년에 앤이 세상을 떠난 후에는 폴리가 그녀 대신 나를 도와주려 나섰습니다.
FAYE MOSS: You were also famous—even as a child. Was this challenging for you?
HELEN KELLER: Being famous could sometimes be an obstacle. But it also allowed me to meet many powerful and influential people, such as the writer Mark Twain and the actor Charlie Chaplin. I met every U.S. president from Grover Cleveland to Lyndon Johnson. I used these connections to advocate for the less fortunate. So I think I put my fame to good use.
FAYE MOSS: Not many people know about this side of you—you were quite the activist!
페이 모스: 헬렌은 또 유명하기도 했지요, 어린 시절에도 말이에요. 그게 힘들지는 않았나요?
헬렌 켈러: 유명한 것이 때로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것은 작가 마크 트웨인과 배우 찰리 채플린 같은 힘 있고 영향력이 있는 사람들을 만나게도 해주었지요. 나는 그로버 클리블랜드부터 린든 존슨까지 모든 미국의 대통령을 만났어요. 나는 이런 인맥을 이용해 불우한 사람들을 옹호했답니다. 그러니 내 명성을 잘 활용했다고 생각합니다.
페이 모스: 헬렌의 이런 면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데요. 헬렌은 대단한 활동가였어요!
HELEN KELLER: I was passionate about many causes. I was one of the founders of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an organization that works to protect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the American people. I also worked hard to get women the right to vote, which they won in 1920. I helped workers fight for the right to organize so they could get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better pay. And I was a pacifist too.
I also wrote about issues that were important to me and traveled around the world giving speeches. I required an interpreter for this, as people sometime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my speech. This was one of my only regrets. I could have helped many more people if I had been able to speak more clearly.
헬렌 켈러: 나는 많은 사회적 대의에 열정적이었습니다. 난 미국 국민의 헌법적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인 미국 시민 자유 연합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어요. 또한 여성이 투표권을 가질 수 있도록 열심히 활동했고, 1920년 여성은 투표권을 획득했지요. 나는 근로자들이 더 좋은 근무 환경과 더 나은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조직할 권리(단결권)를 위해 싸우는 것을 도왔어요. 그리고 나는 평화주의자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나는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에 관해 글을 썼고 세계를 돌아다니며 강연을 했어요. 이를 위해 통역사가 필요했는데, 사람들이 종종 내 연설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었죠. 이것이 내가 유일하게 아쉬워하는 몇 가지 중 하나랍니다. 내가 좀 더 명확하게 말할 수 있었다면 훨씬 더 많은 사람을 도울 수 있었을 테니까요.
FAYE MOSS: How did you come to care so deeply about helping others?
HELEN KELLER: Early in my career, I worked for the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In the position I realized that poor people confront many obstacles. I wasn't poor, but as a deaf and blind person, I certainly encountered many obstacles too. So I wanted to help as many people as I could. We all have obstacles of one sort or another, Faye.
FAYE MOSS: That's true, Helen! And now I must thank you for sharing your story with us today. And thank you, Polly, for assisting with this interview! I'll let you both get back to history now.
HELEN KELLER: Thank you, Faye. It's been a pleasure.
페이 모스: 어떻게 남을 돕는 일에 그렇게 깊이 관심을 두게 되었나요?
헬렌 켈러: 경력을 시작한 초창기에 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미국 재단에서 일했어요. 그 자리에서 나는 가난한 사람들이 많은 장애물에 부딪힌다는 것을 깨달았지요. 나는 가난하지는 않았지만 시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으로서 나도 분명 많은 장애물에 부딪혔습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을 돕고 싶었어요. 우린 모두 이런저런 장애물이 있잖아요, 페이.
페이 모스: 맞아요, 헬렌! 그리고 이제 오늘 우리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해 주신 것에 감사드려야겠어요. 이 인터뷰를 도와줘서 고맙습니다, 폴리! 이제 두 분을 역사로 돌려보내드릴게요.
헬렌 켈러: 고마워요, 페이. 즐거웠습니다.
FAYE MOSS: Helen Keller remained an influential figure even in her eighties. In the early 1960s, an award-winning film brought Helen's story to the big screen, and she received the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She wrote a dozen books and gave speeches all around the world. Keller died in 1968, at age 87, in her home. Her ashes were buried next to her lifelong friends, Anne Sullivan and Polly Thompson, who had died in 1960.
Helen Keller's story of overcoming obstacles and advocating for important causes still inspires people today.
I hope you enjoyed today's interview. See you next time!
페이 모스: 헬렌 켈러는 80대의 나이에도 영향력 있는 인물로 남았습니다. 1960년대 초반에 한 영화가 대형 스크린으로 헬렌의 이야기를 가져와서 상을 받았고, 그녀는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여러 권의 책을 썼고 전 세계에서 연설했습니다. 켈러는 1968년에 자택에서 87세를 일기로 타계했습니다. 그녀의 유골은 평생 친구인 앤 설리번과 1960년에 세상을 떠난 폴리 톰슨 곁에 묻혔습니다.
장애를 극복하고 중요한 사회적 대의을 옹호한 헬렌 켈러의 이야기는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여전히 감동을 줍니다.